가상 머신에서 GPU 성능, 포기해야 할까요? VMware에서 GPU를 100% 활용하는 두 가지 핵심 방법, GPU 패스스루와 vGPU에 대해 확실하게 알려드립니다. 더 이상 답답해하지 마세요!
"아, 가상 머신(VM)에서도 고사양 그래픽 작업이나 AI 모델 학습을 좀 쌩쌩하게 돌리고 싶은데..." 이런 생각, 다들 한 번쯤 해보셨죠? 저도 그랬습니다. VM만 켜면 그래픽 성능이 뚝 떨어져서 답답했던 경험, 솔직히 짜증 나잖아요. 오늘은 VMware 환경에서 물리 GPU의 성능을 그대로, 혹은 효율적으로 나눠 쓰는 방법에 대해 제 경험을 바탕으로 속 시원하게 알려드릴게요! 😊
GPU 가상화, 패스스루 vs vGPU 전격 비교 🧐
VMware에서 GPU를 사용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바로 'GPU 패스스루(Passthrough)'와 'vGPU(Virtual GPU)'인데요, 개념부터가 완전히 달라서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하는 게 정말 중요해요.
- GPU 패스스루 (DirectPath I/O): 물리 GPU 하나를 특정 VM 하나에 '통째로' 전담시키는 방식입니다. 거의 네이티브 수준의 성능을 낼 수 있어서 고사양 게임이나 AI 개발처럼 극한의 성능이 필요할 때 딱이죠. 다만, GPU 하나를 한 VM만 독점하니 자원 효율성은 떨어질 수 있어요.
- vGPU (Virtual GPU): 물리 GPU 하나를 여러 개의 '가상 GPU'로 쪼개서 여러 VM이 나눠 쓰는 방식입니다. NVIDIA GRID 같은 기술이 필요한데, VDI(가상 데스크톱 환경)처럼 여러 사용자에게 적당한 수준의 GPU 성능을 제공할 때 아주 유용해요.
구분 | GPU 패스스루 (Passthrough) | vGPU |
---|---|---|
성능 | 네이티브에 가까운 최대 성능 | 물리 GPU를 분할하여 사용 (성능 공유) |
자원 할당 | 1 GPU : 1 VM (독점) | 1 GPU : 다수 VM (공유) |
주요 용도 | 고성능 컴퓨팅, AI/ML, 고사양 그래픽 작업 | VDI, 경량 그래픽 작업, 다수 사용자 지원 |
라이선스 | 별도 라이선스 불필요 | NVIDIA GRID 라이선스 필요 |
1. GPU 패스스루 설정 방법 🛠️
자, 그럼 먼저 GPU 패스스루부터 설정해볼까요? 이건 하드웨어 호환성만 잘 맞으면 생각보다 간단해요.
1.1. 사전 준비 및 확인 사항
- 하드웨어 호환성: 메인보드와 CPU가 IOMMU (Intel VT-d 또는 AMD-Vi)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BIOS/UEFI에서 반드시 활성화해야 합니다. 이게 핵심이에요!
- GPU 호환성: 대부분의 NVIDIA, AMD GPU는 잘 되지만, 일부 구형이나 소비자용 모델은 지원 목록에 없는 경우도 있으니 미리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 메모리 예약: 패스스루를 사용할 VM은 '모든 게스트 메모리 예약' 옵션을 필수로 체크해야 합니다. 이걸 안 하면 VM이 안 켜져요.
1.2. ESXi 호스트 설정
- ESXi 웹 클라이언트에 접속해서 호스트 > 관리 > 하드웨어 > PCI 디바이스로 이동합니다.
- 목록에서 VM에 할당할 GPU를 찾아서 선택하고, 상단의 '패스스루 전환' 버튼을 클릭하세요.
- 상태가 '활성'으로 바뀌면, 반드시 ESXi 호스트를 재부팅해야 적용됩니다.
1.3. 가상 머신(VM) 설정
- GPU를 할당할 VM의 설정 편집 > 다른 디바이스 추가 > PCI 디바이스를 선택합니다.
- 드롭다운 메뉴에서 방금 활성화한 GPU를 선택하고 추가합니다.
- 메모리 설정에서 '모든 게스트 메모리 예약(100%)'을 체크합니다.
- VM 옵션 > 부팅 옵션에서 펌웨어를 EFI 또는 UEFI로 변경합니다. (BIOS 모드에서는 잘 안될 수 있어요)
- VM을 켜고, 해당 GPU 제조사(NVIDIA/AMD)의 공식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끝!
💡 알아두세요!
일부 고성능 GPU는 VM의 고급 구성에서 `pciPassthru.use64bitMMIO`를 `TRUE`로 설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VM이 GPU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때 확인해보세요.
일부 고성능 GPU는 VM의 고급 구성에서 `pciPassthru.use64bitMMIO`를 `TRUE`로 설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VM이 GPU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때 확인해보세요.
2. vGPU 설정 방법 💻
이번엔 vGPU입니다. 이건 좀 더 복잡하고, 사전 준비물이 필요해요. 특히 NVIDIA GRID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라이선스가 필수적입니다.
2.1. 사전 준비 및 확인 사항
- NVIDIA GRID 호환 GPU: NVIDIA Tesla, Quadro RTX 등 vGPU를 공식 지원하는 GPU가 필요합니다.
- NVIDIA vGPU 소프트웨어: ESXi 호스트에 설치할 vGPU Manager(VIB 파일)와 VM 내부에 설치할 게스트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 NVIDIA 라이선스 서버(NLS): vGPU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라이선스 서버를 별도로 구축하고 라이선스를 구매해야 합니다.
⚠️ 주의하세요!
vGPU는 패스스루와 달리 라이선스 비용이 발생하며, VMware vSphere Enterprise Plus 이상 에디션에서 정식 지원됩니다. 도입 전에 비용과 환경을 꼭 고려해야 합니다.
vGPU는 패스스루와 달리 라이선스 비용이 발생하며, VMware vSphere Enterprise Plus 이상 에디션에서 정식 지원됩니다. 도입 전에 비용과 환경을 꼭 고려해야 합니다.
2.2. ESXi 호스트 설정
- ESXi 호스트를 유지 보수 모드로 전환하고, SSH로 접속하여 NVIDIA vGPU Manager VIB 파일을 설치합니다. (`esxcli software vib install -d /경로/NVIDIA-VIB-파일.zip`)
- 설치 후 호스트를 재부팅합니다.
- 호스트 > 관리 > 하드웨어 > 그래픽 디바이스에서 GPU를 선택하고, '공유 DirectPath' 모드로 변경합니다.
2.3. 가상 머신(VM) 설정
- VM의 설정 편집 > 새 디바이스 추가 > 공유 PCI 디바이스를 선택합니다.
- 'GPU 프로파일' 드롭다운 메뉴에서 VM에 할당할 vGPU 프로파일을 선택합니다. (예: `nvidia_t4-8q`) 프로파일은 GPU 메모리와 성능을 어떻게 나눌지 정의합니다.
- 패스스루와 마찬가지로, 메모리를 100% 예약하고 부팅 옵션을 EFI/UEFI로 설정합니다.
- VM을 켜고, 일반 드라이버가 아닌 NVIDIA vGPU 게스트 드라이버를 설치합니다.
- 마지막으로, VM 내에서 라이선스 서버 정보를 입력해주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VMware GPU 활용 핵심 요약
✨ GPU 패스스루: 최고의 성능이 필요할 때! 1개의 GPU를 1개의 VM이 독점하여 사용합니다.
📊 vGPU: 자원 효율성이 중요할 때! 1개의 GPU를 여러 VM이 나누어 사용합니다.
🔧 공통 설정:
IOMMU (VT-d/AMD-Vi) 활성화 + 메모리 100% 예약 + EFI/UEFI 부팅
👩💻 드라이버: 패스스루는 일반 드라이버, vGPU는 전용 게스트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
Q: 어떤 방식이 저에게 더 좋을까요?
A: 👉 단일 작업에 최고의 성능이 필요하다면 'GPU 패스스루', 여러 사용자에게 적절한 그래픽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vGPU'가 더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딥러닝 모델 개발은 패스스루, 일반적인 사무용 VDI 환경은 vGPU를 추천합니다.
Q: 소비자용 그래픽카드(GeForce 등)도 패스스루가 가능한가요?
A: 👉 네, 기술적으로 가능하고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제조사에서 공식적으로 보증하는 환경은 아니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이 중요하다면 Quadro나 Tesla 같은 전문가용 GPU 사용을 권장합니다.
Q: vGPU 설정 시 라이선스는 꼭 필요한가요?
A: 👉 네, 반드시 필요합니다. NVIDIA vGPU 솔루션은 라이선스 정책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라이선스 서버 구축 및 라이선스 구매가 필수입니다. 평가판 라이선스를 통해 테스트해볼 수는 있습니다.
오늘은 VMware 환경에서 GPU를 활용하는 두 가지 핵심적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GPU 가상화는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번 개념을 잡고 나면 정말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잡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만 보는 시대, 우리가 긴 글을 놓치면 안 되는 진짜 이유 (0) | 2025.09.15 |
---|---|
'케데헌' 신드롬, 넷플릭스는 어떻게 K-콘텐츠 유니버스를 구축할까? (5) | 2025.08.04 |
Hyper-V DDA 완벽 가이드: VM에서 GPU 성능 100% 활용하기 (1) | 2025.07.06 |
7월 21일 시작! 민생회복 소비쿠폰, 나는 얼마 받을까? (신청 자격, 금액) (2) | 2025.07.05 |
SK텔레콤 사이버 침해 사고 보상안 총정리 (위약금 환급, 요금 할인) (0)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