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WS

[심층분석] 미군은 어떻게 언어의 장벽을 넘는가: RWS Language Weaver 활용 현황

주한미군(USFK)의 혁신: Language Weaver Edge 도입 사례
[심층 분석] 미군의 AI 번역 시스템 운용 현황: RWS Language Weaver 활용 사례 미군이 언어 장벽을 극복하고 작전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RWS의 Language Weaver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주한미군부터 정보기관까지의 구체적인 운용 사례와 기술적 특징을 심도 있게 파헤쳐 봅니다.

"우리 양국이 70년간 합동 훈련을 해왔는데 왜 아직도 이메일을 받으면 통역관을 불러야 하는가?" 2021년, 주한미군 사령관의 이 질문 하나가 거대한 변화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군사 작전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소통은 승패를 가르는 핵심 요소이지만, 언어의 장벽은 오랫동안 풀기 어려운 숙제였죠. 하지만 이제 AI 기술이 그 해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미군이 RWS의 AI 번역 솔루션, 'Language Weaver'를 어떻게 활용하여 언어의 한계를 넘어서고 있는지, 그 흥미로운 실제 사례들을 소개해 드릴게요! 😊

 

주한미군(USFK)의 혁신: Language Weaver Edge 도입 사례 🇰🇷🇺🇸

주한미군의 언어 장벽 해소 이니셔티브는 2021년 1월, 로버트 에이브럼스 장군이 주한미군 기술 컨퍼런스에서 한국군 지휘관에게 던진 질문을 계기로 본격화되었습니다. 한미 연합 작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언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한미군은 RWS의 Language Weaver Edge 솔루션을 최종 선택하여 배치했습니다. 당시 요구사항은 매우 구체적이고 까다로웠습니다.

📝 주한미군의 핵심 요구사항 (Requirements)

  • 실시간 양방향 번역: 한국어와 영어 간의 실시간 양방향 번역 기능이 필수적이었습니다.
  • 원활한 통합 (Seamless Integration): 기존에 사용하던 채팅 소프트웨어와의 완벽한 연동을 요구했습니다.
  • 강력한 온프레미스 보안: 모든 데이터가 내부망에서 처리되는 온프레미스 솔루션이어야 했습니다.
  • 대용량 처리 능력: 분당 수십만 단어에 달하는 방대한 양의 번역을 처리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
  • 전원 활용성: 특정 담당자뿐만 아니라, 최하위 레벨의 인원까지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

Language Weaver Edge는 이러한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했을 뿐만 아니라, 미군의 엄격한 사이버 보안 기준과 운용 승인(ATO) 프로세스를 완벽하게 통과하며 그 성능과 안정성을 공식적으로 입증했습니다.

💡 운용 성과: 획기적인 속도 및 효율성 향상
Language Weaver 도입 후, 수천 명의 한반도 주둔 미군 인원이 이 시스템을 활용하게 되었으며, 그 성과는 매우 극적이었습니다.
  • 문서 번역 속도: 기존 '하루 2,000단어' 처리에서 '분당 2,000단어' 처리로 비약적으로 단축되었습니다.
  • 채팅 번역: 대기 시간 없는 즉시 처리가 가능해졌습니다.
이 시스템은 현재 미 육군 제1통신여단이 직접 유지보수 및 지원을 담당하며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전군으로 확산되는 AI 번역: 공군 및 해군 사례 ✈️⚓

Language Weaver의 성공적인 도입은 미 공군(USAF)과 해군으로도 확산되었습니다. 미 공군은 이미 2019년에 SDL(현 RWS)과 엔터프라이즈 계약을 체결하여 다양한 시스템과 연동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 유지보수 시스템과 연동하여 진단 체크리스트, 수리 절차 등의 기술 문서를 실시간 번역하여 제공합니다.
  • 상태 모니터링, 자재 관리 시스템 등 다른 공군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지원하여 운영 효율을 높입니다.

최근 일본의 요코타 공군기지에서는 제374계약대대가 Lilt(유사 AI 번역 기술)를 활용해 복잡한 'DoD 전문용어'를 일본어로 번역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이는 현지 업체의 입찰 참여를 유도하여 경쟁을 통한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는 전략적 활용 사례입니다. 미 해군 또한 2020년, RWS와 장기 엔터프라이즈 계약을 체결하고 방대한 기술 콘텐츠의 생성부터 관리, 배포까지 전 과정을 표준화하고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전장: 정보 및 법 집행 기관에서의 활용 🌐

Language Weaver는 일선 부대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정보전의 최전선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양한 군사 및 정보, 법 집행 기관에서 다국어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대응하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 주요 활용 분야

  • 신호정보 (SIGINT): 국경을 넘나드는 군사 정보 활동에서 획득한 통신 정보를 분석합니다.
  • 공개정보 (OSINT): 전 세계 방송, 뉴스 등 공개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합니다.
  • 사이버 위협 정보 (CYBINT): 다크웹이나 오픈웹에서 수집된 다국어 대화를 분석하여 위협을 탐지합니다.
  • 디지털 포렌식: 압수된 디지털 기기에서 추출된 정보를 신속하게 번역하여 수사에 활용합니다.
  • 법적 감청: 언어에 구애받지 않고 범죄 관련 통신을 실시간으로 분석합니다.
⚠️ 핵심 역량: 완벽한 보안과 압도적인 확장성
Language Weaver Edge는 외부 의존성이 전혀 없는 완전한 'Air-gapped' 환경에서 운영이 가능하여, 데이터 유출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또한, 분당 500,000단어 이상을 처리하는 압도적인 처리 능력과 3,000개 이상의 언어 조합을 지원하는 확장성은 대규모 작전을 지원하는 핵심 기반이 됩니다.

 

결론: 전략적 자산으로서의 AI 번역

RWS의 Language Weaver는 단순한 번역 도구를 넘어, 미군의 작전 효율성과 동맹국과의 상호운용성을 극대화하는 핵심 '전략적 자산'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특히, 주한미군의 사례는 언어 장벽이 첨단 기술을 통해 어떻게 극복될 수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앞으로 AI 번역 기술이 국방 및 안보 분야에서 얼마나 더 큰 역할을 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Language Weaver와 같은 최첨단 AI 번역 솔루션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모코엠시스(ictdiv@mocomsys.com)로 문의해 주세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

Q: 미 육군이 Language Weaver 외에 추진하는 다른 번역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A: 미 육군은 MFLTS(Machin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프로그램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 시스템은 음성-음성 및 텍스트-텍스트 번역을 모두 제공합니다. RWS(당시 SDL)는 이 프로그램에서 텍스트-텍스트 번역 부분을 담당했습니다.
Q: Language Weaver는 몇 개의 언어 쌍을 지원하나요?
A: 3,000개 이상의 언어 조합(Language Pairs)을 지원하여, 전 세계 거의 모든 언어에 대한 번역이 가능합니다.
Q: Language Weaver Edge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무엇인가요?
A: 가장 큰 특징은 외부 네트워크 연결 없이 완벽하게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Air-gapped' 온프레미스 환경을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군사 및 정보기관의 최상위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핵심 기능입니다.